합병에 반하는 법률 관계
오피니언 블로그 / 게스트 칼럼니스트 아서 플라워 | February 22, 2025 올 이스라엘 뉴스는 공정하고 균형 잡힌 보도와 분석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다양한 의견을 게재하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게스트 칼럼니스트가 표현한 견해가 반드시 당사 직원의 견해를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와 유대, 사마리아 '합병' 문제는 국제적으로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일부 법학자에 따르면 이 논란은 국제법에 대한 근본적인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이들은 문제의 영토는 국제법의 주요 기둥에 따라 이미 법적으로 이스라엘의 일부이기 때문에 병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의 초석은 새로운 국가는 그 영토를 통치했던 이전의 최고 행정 단위의 국경을 상속한다는 '속지주의(uti possidetis juris)'라는 교리에 기초하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오스만 제국이 종식되자 국제연맹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영국 위임령을 제정하여 유대 민족과 팔레스타인의 역사적 연관성을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유대인의 국가 설립을 촉구했다.
1922년에 설정된 이 위임령의 국경에는 현재의 이스라엘과 서안지구(유대 및 사마리아), 가자지구가 포함된다. 조지 메이슨 대학교 스칼리아 로스쿨의 유진 콘토로비치 교수는 이스라엘이 독립과 동시에 이러한 국경을 물려받았기 때문에 합병 논의는 법적으로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이미 주권적 소유권이 있는 영토는 점령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스라엘의 국경을 정의하는 것으로 자주 인용되는 1947년 유엔 분할 계획은 구속력이 없는 권고에 불과하다. 유엔 총회는 국가를 만들거나 국경을 결정할 권한이 없다. 요르단이 1948년부터 1967년까지 서안지구를 점령한 것은 주권을 부여한 것이 아니며, 이것은 영국과 파키스탄만이 요르단의 합병 시도를 인정한 것만 봐도 국제 사회가 인정한 사실임을 알 수 있다.
골란고원의 상황은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 처음에는 팔레스타인 통치령(Mandatory)에 포함되었던 이 영토는 1923년 프랑코-영국 협정을 통해 프랑스의 지배로 이전되었다. 이 이양은 주로 현지 베두인 추장의 요청을 수용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산 레모 회의의 원래 임무에서 벗어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1967년 이스라엘이 골란고원을 장악했을 때, 원래의 위임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공식적인 합병이 필요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모두 이스라엘의 골란고원 합병의 정당성을 인정했다. 오늘날 골란고원은 시리아의 위협으로부터 이스라엘을 보호하기 위해 IDF가 장악하고 있다.
이러한 법적 입장은 다른 영토 분쟁과 비교하면 더욱 분명해진다. 예를 들어, 크림반도는 소련 해체 당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기 때문에 러시아의 점령에도 불구하고 국제 사회는 크림반도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유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서안지구의 팔레스타인 다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주장은 이스라엘의 속지주의에 따른 주권적 권리를 무시할 수 없다.
유엔 안보리 결의안 242호(1967)는 “최근 분쟁으로 점령된 영토에서” 이스라엘의 철수를 요구할 때 “모든”이라는 단어를 조심스럽게 생략했다. 결의안의 주요 초안 작성자인 캐러든 경은 나중에 이 누락이 의도적인 것이라고 설명했는데, 이는 이스라엘이 1967년 이전의 국경선이 휴전선이 아니기 때문에 1967년 이전으로 돌아갈 것으로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한 것이다.
1993년 오슬로 협정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특정 지역에 대한 시민 통제권을 행사하는 복잡한 행정 체제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는 이스라엘이 행정 권한을 자발적으로 위임한 것이지 팔레스타인의 주권을 인정한 것이 아니다. PA는 세금을 징수하고 학교를 운영하며 A구역의 내부 치안을 유지하지만, 국제법상 궁극적인 주권은 이스라엘에 남아 있다.
비평가들은 이러한 분석이 팔레스타인의 국가 수립에 대한 열망을 무시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제법은 자결권에 근거한 주장과 확립된 주권을 구분한다. 팔레스타인의 자결권에 대한 열망은 정당한 것이지만, 이스라엘의 속지주의에 따른 주권 주장에 자동적으로 우선하는 것은 아니다.
군사적 정복이 주권을 부여할 수 없다는 원칙은 양쪽 모두에 적용된다. 1948년 요르단의 정복이 법적으로 영토의 지위를 변경할 수 없다면 1967년 이스라엘이 이 지역을 탈환한 것도 외국 영토의 '점령'으로 간주될 수 없다. 콘토로비치가 지적했듯이 한 국가는 주권적 권한을 가진 영토를 합법적으로 점령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협상을 통한 영토 조정의 가능성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스라엘이 이집트 평화 조약에 따라 시나이 반도를 양도한 것처럼 국가는 자발적으로 영토를 양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점령군이 법적으로 철수할 의무가 있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프레임워크는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에서는 완전한 이스라엘 법, 서안지구 일부에서는 군사 행정, 그 외 지역에서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민사 통제를 유지하는 등 지역마다 서로 다른 행정 체계를 유지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특정 지역에 제한된 자치권을 부여하기로 한 국가의 결정이 주권을 부정하지 않는 것처럼, 이러한 다양한 거버넌스 구조는 근본적인 주권 주장을 약화시키지 않는다.
로잔 조약 제16조에서 터키의 새로운 포스트 오스만 정부는 1923년 7월 24일에 위임장에 대한 모든 청구권을 포기했다: “터키는 이로써 본 조약에 규정된 국경 밖에 위치한 영토와 본 조약에 의해 터키의 주권이 인정되는 영토 이외의 섬들에 대한 모든 권리와 소유권을 포기하며, 이러한 영토와 섬들의 미래는 관련 당사자들에 의해 해결되었거나 해결될 것이다.”
최근 백악관에서 열린 요르단 국왕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에서 국왕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아랍 파트너 및 국제 사회와 함께 가자 지구에서 휴전을 달성하기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정의롭고 포괄적인 평화로 이어지는 정치적 지평을 만들기 위해 즉시 작업을 시작해야 합니다...”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의 해결책은 중동, 유럽, 미국의 이해 당사자 간의 협상을 통해 모색되어야 한다.
아서 A. 플라워
아서는 기술 저널리스트, SEO 콘텐츠 작가, 마케팅 전략가, 프리랜서 웹 개발자입니다.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있는 경영 및 기술 대학에서 MBA를 취득했습니다.

Aurthur is a technical journalist, SEO content writer, marketing strategist and freelance web developer. He holds a MBA from the University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in Arlington, VA.